오늘도 어제에 이어서 SQL 실습시간을 하였다.
어제 갑자기 잠이 안와서 새벽 3시까지 뒤척였더니 에너지 레벨 '■'
👇 이글을 보면 일명 '동굴(터미널)'이라고 부르는 아이를 쓰기위해 가상 클라우드를 만들수있다.
https://myview0110.tistory.com/3
구글 클라우드에서 VM 생성하고 SSH 연결 설정하는 법 (SQL 실습)
오늘은 드디어 SQL하는날... 개념부터 설명해 주셨다. 보조 기억장치가 드럼통으로 생겨서 데이터베이스가 저렇게 생겼다는 재밌는 얘기도 해주심 ㅋㅋ 1. GCP VM설정 Google Cloud Platform 가입을 해
myview0110.tistory.com
오늘 배운 내용 (나는 노션에 따로 정리를 해놓기에 블로그에는 요약 정리본을 올린다.)
그로스 마케팅을 위한 실전예제로 KPI의 실제 지표가 되어주는 ROI, 클릭대비 성과율의 측정방식등을 SQL로 만들어 보며 실습하였다. 겨우 하루 지났는데 테이블 생성과 삭제가 너무 익숙해졌다.
JOIN과 UNION의 차이
① JOIN: 두 개 이상의 테이블을 기준이 되는 공통 필드를 통해 결합하여 새로운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식. 주로 고객 정보, 마케팅 캠페인, 거래 데이터 등을 통합하여 보다 정밀한 분석을 수행할 때 사용됨.
② UNION: 여러 테이블에서 가져온 데이터를 동일한 컬럼 구조를 가진 경우 하나의 결과 집합으로 합치는 방식. 예를 들어, 여러 마케팅 채널(이메일, SNS, 광고 등)의 성과 데이터를 하나로 합칠 때 유용함.
개념 정리는 이렇게 하였고 모르는부분은 메타Ai프로그래머 설정을 해놓고 물어 보았다. 보통은 GTP가 예시도 더 잘들어주는데 뭔가 프롬포트를 매번 설정해주는게 귀찮고 처음에는 메타는 그 유명한 페이스북에서 만든 ai라 콘텐츠에 강력한 툴로 제작되었다는 얘길 듣고 써보기 시작했는데 노션 수식도 그렇고 메타가 개발언어에 대한 이해도가 더 있는것같아 나는 메타를 이용중이다.
잘모르겠다면 메타 AI에게 도움을 받아보길 강력 추천한다.
덕분에 수업들으면서 헷깔리는 부분을 정리하고 실습을 무사히 마칠수있었다.
코드 실행하고 주석 달고 ...뭔가 나는 항상 읽는 사람을 먼저 생각하게 되어 쓰기때문에 (내 머릿속 회로에서 돌아가는 생각으로 쓰면 나중에 내가 봤을때도 무슨뜻인지 애매한것을 방지하려고 들인 습관이다.) 주석을 쓰는게 더 어려운 기분이다. 이제 말로써 지시를 받고 그걸 코드로 짜면 더 큰일이겠지만..ㄷㄷ
요런 느낌의 텍스트 뿐인 친구지만 조금 친해지니 눈에 익는다 ㅋㅋㅋ
오늘도 풀악셀 밟아서 SQL실습을 했는데
이제 좀 덜 버거운나..
터미널에서는 파일경로(=디렉토리)로 이동을 하고 오늘 강사님의 말씀으로는
사진에서 보이는 '~' 경로에서 하면 안정성이 떨어진다고 한다.
- 보안 위험:
- 루트 디렉토리는 시스템의 핵심 부분으로, 여기에 데이터베이스 파일을 저장하면 무단 접근의 위험이 높아집니다.
- 홈 디렉토리는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개인 파일이 저장되는 곳으로, 데이터베이스와 같은 중요한 시스템 파일을 저장하기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 시스템 리소스 관리:
- 루트나 홈 디렉토리는 시스템 운영에 필요한 많은 파일들이 저장되는 곳입니다.
- 데이터베이스 파일이 이 공간을 과도하게 차지하면 시스템 전체의 성능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 백업과 복구의 어려움:
- 시스템 파일과 데이터베이스 파일이 섞여 있으면 백업과 복구 과정이 복잡해집니다.
- 데이터베이스만 별도로 백업하거나 복구하기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 권한 관리의 복잡성:
- 루트나 홈 디렉토리의 권한 설정은 매우 중요합니다.
- 데이터베이스 파일에 적절한 권한을 설정하기 위해 이 디렉토리들의 권한을 변경하면 시스템 보안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 업그레이드와 마이그레이션의 어려움:
- 시스템 업그레이드나 데이터베이스 마이그레이션 시 중요한 시스템 파일과 데이터베이스 파일을 구분하기 어려워집니다.
- 표준 관행에서 벗어남:
- 대부분의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은 특정 디렉토리(예: /var/lib/mysql)를 기본 저장 위치로 사용합니다.
- 표준에서 벗어나면 관리와 문제 해결이 더 복잡해질 수 있습니다.
- 다중 사용자 환경에서의 문제:
- 여러 사용자가 시스템을 사용하는 경우, 홈 디렉토리에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는 접근 권한 관리가 복잡해질 수 있습니다.
7가지의 이유나 있었다.
그래서 우리가 원하는 경로로 가기위한 경로 이동 명령어를 정리해 보았다.
--mkdir: 새 디렉토리 생성, rmdir: 빈 디렉토리 삭제
-- ~에서 하면 안전성이 떨어지기때문에
cd /
--cd는 디렉토리 이동 명령
cd var
cd gm-lab2
--sudo : superuser do 다른 명령어와 같이 사용하여, 해당 명령어가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mkdir: 새 디렉토리 생성, rmdir: 빈 디렉토리 삭제
sudo mkdir gm-lab2
--MySQL 데이터베이스에 root 사용자로 접속하는 명령
sudo mysql -u root
--777 ( rwx rwx rwx ) 의 권한을 설정하는 일종의 사용 방법
sudo chmod -R 777 gm-lab1
--권한까지 나오는데 색이 반전돼있으면 다 된것.
ls -li
--MySQL 접속 후 사용할 데이터베이스를 선택
use mydb;
서브라임텍스트에 파일을 하나 만들어서 실습시에 복붙을 하면 편하다..
나는 타자를 잘 치지 않는다. 예전부터의 습관이다. 오탈자가 너무 스트레스 받기 때문이기도 하고 복붙하면 건네 받은 사안에대해서도 적어도 내 잘못인 글자가 따로 들어가진 않는다.
서브라임 꿀팁
① 서브라임과 동굴에서는 영문과 숫자를 더블클릭하면 거의 띄어 쓰기를 해도 한단락으로 드래그(선택)이 된다.
그상태에서 따옴표를 눌러주면 쉽게 문자로 변형되는 값을 쓸수있어서 편했다.
② 자동 줄바꿈 : Word Wrap
③ 컴퓨터 언어를 설정 : View - Syntax로 들어가면 내가 쓰고있는 컴퓨터 언어를 설정이 가능하다.
동굴(터미널) 꿀팁
꿀팁일지 모르겠지만 ㅋㅋㅋ 여러 테이블도 한번에 붙여 넣으면 이렇게 몇개의 테이블을 넣었는지와 쿼리 오케이를 확인해 보면 쉬워서 서브라임 텍스트에 코드를 쓰고 동굴로 가져와서 붙여넣는 방식을 편하게 사용하고있다.

내일의 8교시^^^^ 어디 마음 chill분하게 가라 앉히고 힘내볼까!
'데이터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Database를 이용해서 게시판을 만들기 (+CRUD 이해) (6) | 2025.02.14 |
---|---|
Python과 SQL 연동 과정과 실습기록 (4) | 2025.02.13 |
MariaDB와 SQL 실습 일지 ( 실수 투성이~ ) (0) | 2025.02.11 |
구글 클라우드에서 VM 생성하고 SSH 연결 설정하는 법 (SQL 실습) (8) | 2025.02.10 |
Pandas의 정렬과 필터링 정리 and 파이썬 GPT한테 답 구하기 (2) | 2025.02.09 |